top of page

中 상하이대 연구팀, RSA 암호 해독 방법 개발…양자컴퓨터 활용

'RSA 암호'를 해독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5일(현지시간) 온라인 매체 기가진에 따르면 왕차오(王喬) 상하이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양자컴퓨터를 활용해 'RSA 암호'를 해독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RSA 암호는 소인수분해의 어려움을 안전성의 근거로 삼는 암호로, 양자컴퓨터가 이를 해독할 수 있다는 점은 기존 암호의 보안성에 대한 위협을 시사한다.


왕 교수팀은 캐나다 D-웨이브 시스템(D-Wave Systems)의 양자 컴퓨터 'D-웨이브 어드밴티지'를 활용해 고전 알고리즘과 양자 어닐링 기법을 통합, 여러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한 시스템 최적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를 통해 군사 및 금융 암호화 프로토콜에 널리 적용되는 알고리즘을 해독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왕 교수팀은 두 가지 RSA 공개키 공격 알고리즘을 연구했다. 첫 번째는 암호 공격의 수학적 방법을 결합해 최적화 문제로 변환하는 모델로, 이를 D-웨이브 어드밴티지에 적용해 22비트 RSA 정수인 2269753의 인수분해에 성공했다. 두 번째는 양자 어닐링과 고전 알고리즘을 결합한 '양자 어닐링 알고리즘 융합 암호 공격'으로, 50비트 정수의 인수분해에 성공했다.



현재 2048비트 이상의 키를 깨기 위해서는 큰 기술적 돌파구가 필요하지만 왕 교수팀의 방법은 향후 64비트 이상의 RSA 정수 인수분해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왕 교수팀은 "현재 암호화된 데이터도 향후 해독 가능 도난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ai@d-today-co.kr

조회수 0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구글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양자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를 공개했다.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수준에 처음으로 도달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양자 기술로 무장한 '퀀텀 데이터센터' 뜬다

컴퓨터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양자(퀀텀)컴퓨터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 주자인 IBM은 양자 데이터센터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구축했다.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임대 업체인 미국 에퀴닉스는 양자컴퓨터의...

Commentaire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