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국표원 '양자기술 표준화포럼' 출범…국제표준 주도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양자기술의 상용화에 대비해 국제표준을 주도하기 위한 '양자기술 표준화 포럼'을 출범했다고 2일 밝혔다.


양자기술은 초고속 대용량 연산, 초신뢰 암호통신, 초정밀 계측 등을 가능하게 하는 첨단기술이다. 상용화 시 인공지능, 신약·신물질 개발, 광물 탐사, 금융·보험, 물류·운송, 자동차·항공·조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과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자기술 표준화 포럼은 컴퓨팅, 통신, 센싱, 소재 등의 4개 분과로 구성되며 포럼 운영위원장에는 한림대 박성수 교수가 선임됐다.


포럼 출범식에서는 산학연 표준전문가가 양자기술 국제표준화 로드맵 개발 관련 동향을 공유하고 신설 국제표준화위원회에서의 리더십 확보를 위한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한편, 최근 미국, 영국, 중국 등 양자기술 선도국을 중심으로 양자기술 표준화위원회 신설과 관련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 그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양자기술 백서 발간(2021년), 양자기술 표준화 평가그룹 설립 및 표준화 로드맵 개발(2022년) 등을 통해 국제표준화 위원회 설립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국표원 관계자는 "양자기술의 국제표준화에 대한 세계 각국의 관심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번 포럼 출범은 우리나라의 국제표준화 전략을 마련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wise@yna.co.kr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구글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양자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를 공개했다.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수준에 처음으로 도달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양자 기술로 무장한 '퀀텀 데이터센터' 뜬다

컴퓨터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양자(퀀텀)컴퓨터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 주자인 IBM은 양자 데이터센터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구축했다.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임대 업체인 미국 에퀴닉스는 양자컴퓨터의...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