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민관군 양자정보협의회 출범…"양자 과학기술, 국방에 적용"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양자과학기술의 국방분야 적용·확산을 위해 국방부와 함께 '민관군 양자정보협의회'를 27일 출범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과 이영빈 국방부 기획조정실장, 김재완 고등과학원 석학교수, 양승현 SK텔레콤[017670] 글로벌 설루션 테크 담당이 공동 의장을 맡고, 방위사업청과 육·해·공군, 연구계 및 학계와 산업계 등 30개 기관에서 참여한다.


협의회는 '정보교류 및 협력과제 발굴', '제도 및 규제'의 2개 분과를 운영하며, 물리적으로 도청을 원천 차단하는 양자암호통신의 국방적용, GPS(위성항법장치) 교란 시 정밀항법이 가능한 양자중력센서 기반 양자항법과 스텔스 물체를 탐지할 수 있는 양자레이더 개발 등에 대해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실무 분과는 오는 8월부터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전략'의 7대 추진방향 중 하나로'국방·안보 도입 추진'을 포함했고, 국방부 역시 10대 국방전략기술 중의 하나로 양자과학기술을 선정하는 등 정부는 양자과학기술의 국방분야 적용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지난 4월 국방과학기술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이날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퀀텀 코리아 2024의 부대행사로 열린 협의회 출범식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로 인한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양자과학기술이 첨단기술 기반 강군 건설에 기여할 수 있도록 본격적으로 논의를 시작할 시점"이라며 "앞으로 협의회를 통해 국방부와 상시적 수준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국방 분야 양자과학기술 실증·전력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rao@yna.co.kr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구글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양자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를 공개했다.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수준에 처음으로 도달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양자 기술로 무장한 '퀀텀 데이터센터' 뜬다

컴퓨터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양자(퀀텀)컴퓨터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 주자인 IBM은 양자 데이터센터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구축했다.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임대 업체인 미국 에퀴닉스는 양자컴퓨터의...

Comenta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