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양자암호통신 시범구축] 해킹 사실상 불가능한 양자기술 상용화 마중물

발행일 : 2022-12-19 14:00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진행한 '2022년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 구축·운영(이하 양자암호통신 시범구축)' 사업이 양자기술 상용화를 위한 제도 기반과 생태계 조성에 마중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양자암호통신 시범구축 핵심 성과로, 세계 최초 국가기관 도입을 위한 양자암호통신 보안제도 마련돼 2023년 3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A, 국가정보원은 정부부처간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보안인증제도를 세계 최초로 수립할 수 있었다. 보안인증제도는 국정원이 정보보호시스템 및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 국가 공공기관 도입 운용을 위한 안전성을 확인 하는 제도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양자광학 핵심기능을 선제적으로 확인하고, 그 외 보안요구사항에 대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시험 검증한다.


과기정통부와 NIA는 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KT 통신 3사와 협력해 양자암호통신 상용화를 위한 이용약관과 요금제를 출시했다. 시범 구축을 통해 기능, 성능, 보안성, 안전성 등을 시험검증하고 기술을 고도화하고 동시에 요금체계를 분석해 세계 최초 양자암호통신 전용회선 요금제를 마련한 것이다. 정부와 통신사는 향후 파장분할다중화(WDM) 등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고도화해 전용회선 요금을 최적화, 상용화 기반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양자암호통신 시범구축 성과>


박지성 기자


출처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21219000055

조회수 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구글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양자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를 공개했다.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수준에 처음으로 도달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양자 기술로 무장한 '퀀텀 데이터센터' 뜬다

컴퓨터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양자(퀀텀)컴퓨터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 주자인 IBM은 양자 데이터센터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구축했다.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임대 업체인 미국 에퀴닉스는 양자컴퓨터의...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