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양자정보기술 주도권 확보"…민간 중심 국제표준안 개발 박차

정부가 국내외 기업들과 손잡고 양자정보기술 분야 국제표준안 개발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한국 주도의 양자정보기술 분야 글로벌 사실표준화 기구 '퀸사'(QuINSA) 출범식을 개최했다.


'퀸사'는 민간이 중심이 돼 양자정보기술 산업의 사실표준화를 위한 국제 사실표준화기구다.

양자 통신, 양자 컴퓨팅, 양자 센싱 등 세부 기술별 국제표준안 개발을 위한 전문가 간 협력뿐만 아니라 국내외 양자정보기술 전반의 표준화 동향 조사분석, 양자정보기술 사례 발굴 및 산업화 촉진, 국제 표준화 기구와 협력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세계 각국에서는 양자정보기술을 국가 전략 분야로 선정하고 적극적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도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전략', '퀀텀 이니셔티브' 등 양자정보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양자정보기술은 정보과학을 통해 미래 산업생태계의 판도를 바꿔 놓을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인 만큼, 기술과 산업의 중요한 연결고리인 표준화에도 세계적인 관심이 모이고 있다.


퀸사의 창립회원으로는 양자 기술을 개발하거나 사업화를 추진하는 기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국내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LG전자, 포스코, LIG 넥스원 등 대기업과 IDQ, 진인프라, SDT 등 중소·스타트업 등 107개 기업이 참여한다.


해외기업은 양자컴퓨팅 분야 세계 1위 기업인 IBM(미국)을 비롯해 큐시큐어(미국), IQM(핀란드), SemiQon(핀란드), 퀀텀 머신(이스라엘), BTQ(캐나다) 등 양자정보기술 관련 첨단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며, 아마존(미국)에서도 가입을 검토 중이다.


조선학 과기정통부 연구개발투자심의국장은 "우리나라가 주도해 출범한 '퀸사'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사실표준화 기구로 자리매김하고, 글로벌 양자정보기술 발전과 생태계 조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1 서장원 기자 superpower@news1.kr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구글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양자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를 공개했다.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수준에 처음으로 도달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양자 기술로 무장한 '퀀텀 데이터센터' 뜬다

컴퓨터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양자(퀀텀)컴퓨터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 주자인 IBM은 양자 데이터센터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구축했다.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임대 업체인 미국 에퀴닉스는 양자컴퓨터의...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