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세대, IBM과 양자컴퓨팅 기반 바이오 분야 협력 강화

단백질 구조 기반 신약 발견 등 성과 도출 기대


연세대학교와 IBM이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연구와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양 기관은 'Yonsei-IBM BIO-Quantum Initiative'를 목표로 양자 컴퓨팅 연구와 개발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협약을 체결했다.


주요 내용은 △양자 알고리즘 개발 지원 및 기술 프로젝트에 대한 자문 제공 △워크숍, 세미나, 콘퍼런스 등 지식 교류 활성화 △양자 컴퓨팅 및 생명공학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 개발 지원 △공동 운영 위원회 구성 및 정기 회의 진행을 통한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양자 컴퓨팅을 위한 협력 활동 등이다.


연세대는 이번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의 양자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고 양자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생명공학 분야, 특히 단백질 구조 기반 신약 발견 및 개발 등 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했다.


윤동섭 연세대 총장은 "앞으로 IBM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인류의 삶을 개선하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힘쓰겠다"고 말했다.


제이 감베타 IBM 펠로우 겸 부사장은 "연세대와의 협력으로 대한민국의 양자 생태계가 양자 알고리즘의 발견과 산업 관련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연세대는 올해 하반기 국제캠퍼스에 'IBM 퀀텀 시스템 원'을 설치할 예정이다. 대학 캠퍼스 내에 설치되는 건 세계에서 두 번째라고 연세대는 설명했다.


뉴스1 이유진 기자 real@news1.kr

조회수 0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구글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양자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를 공개했다.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수준에 처음으로 도달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양자 기술로 무장한 '퀀텀 데이터센터' 뜬다

컴퓨터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양자(퀀텀)컴퓨터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 주자인 IBM은 양자 데이터센터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구축했다.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임대 업체인 미국 에퀴닉스는 양자컴퓨터의...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