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유상임 과기정통 장관 “AI·반도체·첨단바이오·양자 주도권 확보 노력”

유상임 신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6일 “우리나라는 우리의 강점을 살려 기술 선도국들보다 앞서 전략기술을 선점해야 하고 유능한 인재를 꾸준히 확보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이날 세종 과기정통부 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기술 선도국들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전략기술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책 방향으로 AI·반도체, 첨단바이오, 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 기술 분야 주도권 확보, 선도형 연구개발(R&D) 시스템 체질 전환, 과학기술인 육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안정 정책 추진 등 4가지를 꼽았다.



그는 “AI 분야에서는 AI G3 시대를 열겠다. 산업계와 함께 경쟁력 있는 AI · 디지털 서비스를 개발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이를 뒷받침할 AI컴퓨팅 인프라의 경쟁력을 높이고, 고품질의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에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또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과 규제혁신을 통해 국가 전반에 AI·디지털 확산을 촉진하겠다. AI산업 육성과, 안전 · 신뢰 기반 조성을 균형 있게 고려한 AI 기본법 제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유 장관은 ”R&D 예산의 낭비 요인을 제거하고 국가전략기술 확보, 미래 성장동력 발굴, 글로벌 공동연구, 인재양성 등을 골자로 하는 선도형 투자 포트폴리오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며 ”R&D 예산을 필요한 만큼 신속하게 지원하기 위한 R&D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 폐지와 이에 따른 보완책을 적기에 안착시키겠다“고 했다.



과학기술인 육성에 대해서는 우수 이공계 대학생들의 장학금 확대와 이공계 대학원생의 연구 환경 개선, 신진연구자의 역량 발전을 위한 지원, 과학기술인들이 대우 조정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통신시장 경쟁 촉진과 디지털 접근성 강화, 고품질 방송미디어 서비스 제공, 안전한 디지털 환경 구축 등에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마지막으로 ”우리의 경쟁력은 속도에서 나온다“며 ”모든 부처와 민간의 역량을 결집해야 하는 과학기술·디지털 플랫폼 부처로서 기술과 산업의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자신문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

조회수 0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구글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양자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를 공개했다.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수준에 처음으로 도달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양자 기술로 무장한 '퀀텀 데이터센터' 뜬다

컴퓨터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양자(퀀텀)컴퓨터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 주자인 IBM은 양자 데이터센터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구축했다.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임대 업체인 미국 에퀴닉스는 양자컴퓨터의...

Komentář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