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표면·계면화학 석학' 김유수 교수, GIST 부임…IBS 양자 변환 연구단장 맡아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한국인 최초로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수석과학자로 선정된 김유수 도쿄대 교수가 1일자로 화학과 교수로 부임했다고 2일 밝혔다.


김 교수는 기초과학연구원(IBS) GIST 캠퍼스 양자 변환 연구단장을 맡는다.


그는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 응용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RIKEN과 도쿄대에서 연구를 이어왔으며 2015년 RIKEN에서 연구자로는 가장 높은 직책인 수석과학자에 뽑혀 표면 및 계면과학 연구실을 이끌어 왔다. 한국인 과학자로 이 자리에 오른 것은 김 교수가 처음이다. 2022년에는 도쿄대 응용화학과 교수로 임명되기도 했다.


김 교수는 표면 및 계면화학 분야를 대표하는 세계적 연구자로 꼽힌다. 194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볼프강 파울리가 '물질은 신이 창조했지만, 표면은 악마가 만들었다'고 표현했을 정도로 표면화학 연구는 까다롭다. 교과서에 배운 화학 도구가 표면 연구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대표 성과로는 △단일 분자 내에서 생성되는 광전류를 원자 수준에서 측정한 연구△나노 물질의 전자구조와 광학 물성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정밀한 나노 분광법의 개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발광 메커니즘을 제시한 연구 등이 있다. 일본 문부과학부 과학기술표창(2018), 일본 분자과학회 국제학술상(2018), 일본 화학회 학술상(2019) 등 유수의 과학상을 수상했다.


김 교수가 이끌 양자 변환 연구단은 양자 상태간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계측·제어하는 혁신적 방법론을 개발해 양자 변환 현상에 의해 발현되는 혁신적 기능과 물성을 창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지난 20여 년간 일본 학계에 몸담은 김 교수의 인프라를 활용해 한일간 적극적인 공동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김 교수는 “촉매, 배터리, OLED 등 인류에게 편의를 가져다준 기술의 기저에는 모두 고체 표면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연구해 온 기초과학자들의 연구가 있다”며 “개인적으로 연구에 있어 큰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낀 시점에, 변화의 방향성과 GIST와 IBS의 지향점이 잘 맞아 귀국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구글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양자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를 공개했다.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수준에 처음으로 도달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양자 기술로 무장한 '퀀텀 데이터센터' 뜬다

컴퓨터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양자(퀀텀)컴퓨터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 주자인 IBM은 양자 데이터센터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구축했다.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임대 업체인 미국 에퀴닉스는 양자컴퓨터의...

Commentaire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