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표준연 “핵잠수함 탐지에 활용 가능한 양자센서 5년내 개발”

호성 표준연 원장은 이날 간담회를 열어 “시대 변화에 따라 국가가 요구하는 임무가 있다”며 “표준연의 측정 기술로 국가에 가장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분야는 양자”라고 설명했다. 표준연은 1초를 물리적으로 정의하는 원자시계 등을 개발했다.

 

양자기술 가운데 상용화가 가장 빠를 것으로 예상되는 양자센서는 양자중력·관성·시간·전기장·자기장·광학 센서로 나뉜다. 이 센서를 쓰면 GPS 신호가 닿지 않는 심해에서 은밀히 움직이는 잠수함을 감지할 수 있다. 지반의 중력 지도를 그려 특정 광물이 매장돼 있는지, 땅굴이 있는지 등도 알아낼 수 있다.


이 원장은 다른 기관과 융합연구를 하는 직원은 인사평가를 면제하기로 했다고 이날 밝혔다. 과기정통부가 추진 중인 R&D 혁신 정책에 일조하기 위해서다. 그는 “1초에 대한 정의를 바꾸는 광시계 개발팀, 1㎏에 대한 정의를 바꾸는 키블저울 개발팀의 인사평가를 면제했다”며 “앞으로 면제 대상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일보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조회수 0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구글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양자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를 공개했다.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수준에 처음으로 도달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양자 기술로 무장한 '퀀텀 데이터센터' 뜬다

컴퓨터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양자(퀀텀)컴퓨터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 주자인 IBM은 양자 데이터센터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구축했다.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임대 업체인 미국 에퀴닉스는 양자컴퓨터의...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