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KT-부산항만공사, '양자 센싱' 기술 탑재 라이다 실증


SK텔레콤[017670]은 부산항만공사와 '양자 센싱' 기술이 적용된 양자 라이다(LiDAR)로 부산 감천항 제2부두에서 보안관제 실증을 마쳤다고 31일 밝혔다.


양자 센싱은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춘 뒤 반사되는 빛의 최소 단위인 광자를 인식해 사물과 거리·물성을 감지하는 기술로, SK텔레콤은 이를 바탕으로 '단일 광자 포토 다이오드'를 개발했다.


회사는 이렇게 제작된 양자 라이다가 도로 위 타이어나, 어두운 밤 검은 옷을 입은 보행자 등 빛의 반사도가 낮은 물체도 정확하게 탐지한다고 설명했다.


빛 파장을 분석해 가스 누출 여부와 농도, 종류, 위험성도 파악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8월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 기상환경재현시설에서 안개가 자욱한 환경을 구현해 실험한 결과 탐지 거리가 기존 제품 대비 최대 7배 이상 늘어났다고 소개했다.


또 기상 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지도 확인했으며, 문제가 생겼을 때 자동으로 복구하는 안정화 및 자가 진단 기술에 대한 검증도 마쳤다.


아울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공식 성능평가도 마쳤으며, 라이다 전문 업체 'SOSLAB'과 협력해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회사는 양자 라이다 기술을 개발 및 고도화해 2030년 6조5천억 원 규모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는 세계 양자 센싱 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하민용 SK텔레콤 최고사업개발책임자(CDO)는 "이번 실증으로 양자 라이다의 차별화된 성능을 입증할 수 있었다"며 "전 세계 최고 수준의 양자 기술과 인공지능 역량을 활용해 양자 센싱 시장도 선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오규진 기자 acdc@yna.co.kr


조회수 2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구글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양자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를 공개했다.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수준에 처음으로 도달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양자 기술로 무장한 '퀀텀 데이터센터' 뜬다

컴퓨터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양자(퀀텀)컴퓨터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 주자인 IBM은 양자 데이터센터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구축했다.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임대 업체인 미국 에퀴닉스는 양자컴퓨터의...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