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정부, 1조원 규모 양자과학기술 프로젝트 추진

업데이트 2023.03.10. 20:44

구글이 개발한 양자컴퓨터 '시커모어'. /Google Quantum AI


정부가 내년부터 7년간 양자(量子·quantum) 과학기술 프로젝트에 1조원을 투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2031년까지 10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를 개발할 계획이다.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따르면, 양자컴퓨터·양자통신·양자센서 핵심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는 ‘양자과학기술 플래그쉽 프로젝트’를 과기정통부가 수립해 지난 2일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 사업기간은 내년부터 2031년까지이고 총 사업비는 9960억원이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2031년까지 10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를 개발한다는 목표도 담겨 있다. 앞서 지난달 정부가 2026년까지 50큐비트급 양자컴을 개발하고 2027년부터 500큐비트급 양자컴을 개발한다고 밝혔는데, 이번 예타 신청에 1000큐비트급에 도전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올해 1000큐비트급 양자컴을 내놓겠다고 밝힌 IBM을 비롯해 양자컴퓨터 선도 기술을 가진 나라와의 격차를 고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양자 컴퓨터는 3대 양자 기술 중에서 우리나라가 선도국보다 가장 뒤처지는 분야로 꼽힌다. 이에 비해 기술 격차가 크지 않은 양자통신 분야에서는 이번 프로젝트로 양자 인터넷 개발과 실증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가 예타를 통과에 내년 예산에 반영될지 여부는 이르면 오는 11월에 결정될 전망이다.


곽수근 기자


출처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2023/03/10/3S2BYG4E7JDZRAJSWQJVZA7QJQ/

조회수 6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구글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인 양자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술을 크게 향상시킨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를 공개했다.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수준에 처음으로 도달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양자 기술로 무장한 '퀀텀 데이터센터' 뜬다

컴퓨터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양자(퀀텀)컴퓨터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 주자인 IBM은 양자 데이터센터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구축했다.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임대 업체인 미국 에퀴닉스는 양자컴퓨터의...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