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대전시-KAIST-퀘벡주, '양자 기술의 미래' 논의

  • sykim9972
  • 2024년 2월 20일
  • 1분 분량

대전시는 카이스트(KAIST), 퀘벡주와 20일 KAIST 본원에서 ‘세계적 수준의 양자 생태계 얽힘(Entanglement of World-class Quantum Ecosystems)'을 주제로 네트워크 미팅을 가졌다고 밝혔다.



네트워크 미팅은 대전시, KAIST, 퀘벡,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최첨단 양자연구 소개 등 정보공유와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네트워크 미팅에서 김은성 KAIST 양자대학원장의 ‘KAIST의 양자 연구 및 퀘벡과의 잠재적 협력’, 알렉산더 블레 박사(퀘벡 양자연구소 과학책임자)의 ‘셜브룩(Sherbrooke) 양자 연구소 최첨단 양자 연구 소개’, 여환섭 kris 수석연구원의 ‘한국의 양자 정책 및 KRISS의 양자 연구 소개’, 베즈마 벤레드젬 박사(퀘벡정부 서울주재 과학자)의 ‘퀘벡-한국 간 성공적인 연구 협력과 기회’, 올리비에 가뇽 고르딜로(퀘벡 양자 책임자)의 ‘퀘벡의 혁신적인 양자 기관 소개’ 등이 발표됐다.



이어 대전시-KAIST-퀘벡주 간 양자과학·산업분야에 대한 협력 및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박영규 시 국제관계대사는 "이번 교류를 통해 대전시, 퀘벡주, KAIST를 비롯한 대덕연구단지의 연구기관들이 함께 양자 과학 기술 분야에서 국제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교류를 진행한다면 양자분야에서 혁신적인 결과를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AIST 김은성 양자대학원장은 “양자 기술의 선점을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하지만 결국 국경을 초월한 협력이 있어야만 기술의 결실이 가능하다”며 “이번 행사는 협력을 통한 양자 생태계 구축을 위해 마련한 자리로 이를 통해 대전시와 KAIST가 세계 양자 생태계 내에서 역할을 고민하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시는 양자산업 육성을 위해 대덕 퀀텀 밸리 조성 업무협약(MOU) 체결, 대전시 양자 산업 육성을 위한 조례 제정, KAIST 양자대학원 지원, 양자 산업 인프라 구축(양자 팹, 양자 테스트 베드) 등 양자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지역 산업을 육성키로 했다.



뉴시스 곽상훈 기자 kshoon0663@newsis.com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챗GPT 이상 혁신 온다…양자컴퓨팅 산업 지원 강화해야"

국내 양자산업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는 '챗GPT' 등장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어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Comments


bottom of page